전체 글 71

인체 생리학의 기본 - 인체의 구성&항상성

인체 생리학. 즉 우리 몸이 어떻게 구성돼 있고 작동하는지 살펴보는 학문이다. ■우리의 몸은 어떻게 구성돼 있나? 1. 우리 몸의 가장 기본 단위는 세포(Cell)이다. 2. 세포가 모이면 조직(tissue)이 구성된다. 3. 조직이 모이면 기관(organ)이 된다. 예를 들어. 위는 기관이고. 위는 기관이고, 위를 구성하는 조직으로 구성돼 있다. 위를 구성하는 조직은 세포가 모여서 만들어진 것이다. ■ 우리 몸은 항상성을 지니고 있다. 항상성이란 무엇인가? 1. 항상성이란 무엇인가? - 항상성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을 뜻한다. - 항상성은 내부, 외부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을 지니는데 - 예를 들어 우리 몸은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려고 한다. - 체온이 떨어지면 소..

[치매 환자 가족을 위한 식품영양학&생리학]을 시작하며

치매 환자를 돌보기 위해서는 많은 지식을 습득해야 합니다. 심리학도 알아야 하고. 간경 간호의 원칙에 대해서도 알아야 합니다. 심리학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뇌'의 작동원리를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뇌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모르면 치매 환자가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치매 환자의 행동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면, 치매 환자와 보호자간에 많은 갈등이 발생하죠. 곧 출간될 책에서 강조했지만. 치매 환자 보호자를 위해서는. 치매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는 걸 막아야 합니다. 심리학적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것 만으로도 상당부분 증상의 악화를 막는데 도움이 되지만. 이것 만으로는 2%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우리 몸이 건강하려면 건강한 음식을 먹는 것이 필수입니다. 건강한 음식을 먹으려면 ..

치매 환자 가족을 위한 심리학 개론 <33>. 책을 읽으면 치매 예방이 되는 이유

“조선달 편을 바라는 보았으나 물론 미안해서가 아니라 달빛에 감동하여서였다. 이지러는 졌으나 보름을 갓 지난달은 부드러운 빛을 흐뭇이 흘리고 있다. 대화까지는 팔십리의 밤길, 고개를 둘이나 넘고 개울을 하나 건너고 벌판과 산길을 걸어야 된다. 길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붉은 대궁이 향기같이 애잔하고 나귀들의 걸음도 시원하다. 길이 좁은 까닭에 세 사람은 나귀를 타고 외줄로 늘어섰다. 방울소리가 시원스럽게 딸랑딸랑 메밀밭께로 흘러간다. 앞장선 허생원의 이야..

치매 환자 가족을 위한 심리학 개론 <32>. 충분한 수면 취하기

잠이 기억과 관련이 깊다는 것은 수 십 년 전부터 학자들에 의해 증명되어 왔습니다. 우리는 흔히 시험 전날에 밤을 꼬박 새우며 공부를 하는데요. 시험을 더 잘 보기 위해서는 잠을 충분히 자야 합니다. 비유를 하자면 우리가 공부를 하는 것은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콘크리트를 만드는 것과 비슷하고, 기억을 하는 것은 콘크리트가 굳어서 집이 되는 것과 비슷한 것입니다. 즉 콘크리트가 굳지 않으면 집이 무너지는데, 잠을 자는 동안 콘크리트가 굳어서 집이 완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 한가지. 충분한 수면을 취할 때 치매가 예방되는 과학적 증거들 또한 차고 넘친다는 것입니다. 그럼 수면과 학습이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할까요? 32-1. 잠을 잘 자야 기억력이 강화되는..

치매 환자 가족을 위한 심리학 개론 <31>. 가족의 사랑이 최고의 치매 예방약인 이유

‘치매 예방을 위한 수칙 333’ 을 들어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3가지를 권하고, 3가지를 금하며, 3가지를 행하라는 것인데요. 3권은 일주일에 3번 이상 걷기, 부지런히 읽고 쓰기, 생선과 채소 골고루 먹기입니다. 3행은 정기적으로 건강검진 받기, 가족, 친구들과 자주 소통하기, 매년 치매 조기 검진 받기 인데요. 왜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족 친구들과 자주 소통을 해야 할까요? 31-1. 전두엽의 기능 아주 오래된 영화이지만 ‘헨리 이야기’라는 영화를 보면 우리 뇌의 전두엽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잘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불법은 아니지만 양심은 얼마든지 버릴 수 있는 탐욕스러운 변호사가 어느 날 강도에게 총을 맞아 머리를 다칩니다. 다행히 죽지는 않았지만, 뇌를 다쳤기에 많은 ..